정보리뷰

증여세 면제 한도액과 신고기간

리뷰의현자 2021. 4. 26. 10:26

최근 강화된 부동산 정책으로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등 부동산 거래에 부과되는 모든 세금의 세율이 대폭 강화되면서 증여와 양도를 하며 세금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증여세에 대해서 정확이 알고 절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파란색-배경에-중간에-TAX문지와-서류를-든-남성-큰-돋보기를-든-남성-큰-계산기를-든-여성-그림
증여세 면제한도액

 

<목차>
1. 증여세 면제 한도액(증여 재산 공제 금액)
2. 2021년 증여세율
3. 증여세 가산세(세대생략 가산세)
4. 증여세 신고기간

 

 

 

증여는 아무런 대가 없이 무상으로 받는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증여세는 증여를 받는 사람이 납세 의무가 생기고, 국내에 1년 중 절반을 국내에 머무른다면 (183일 이상 거주) 국내외 모든 재산에 대해 과세됩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증여 재산 공제 금액)

 

증여 재산 공제란 가족 혹은 친족 간 증여시 일정액을 과세가액에서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10년이내 동일인으로 부터 증여받은 재산은 새로 증여받는 재산에 합산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누구한테 증여를 받는지에 따라 공제 금액이 달라집니다.

부부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배우자에게 증여 시 전체 증여재산에서 6억원을 빼줍니다. 즉, 6억원 이하라면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직계존속)은 아버지가 아들에게 증여할 경우에는 전체 증여 재산 중에 5천만원까지 증여세가 면제입니다. 만약 아버지가 아들에게 1억원을 증여한다면 5천만원을 공제하고 나머지 5천만원에 대해서 증여세가 과세됩니다.

 

본인을 기준으로 공제 금액이 정해지기 때문에, 만약 조부모와 부모에게 10년 내에 증여를 받은 일이 있다면 두 건을 모두 합산해서 공제 금액이 5천만원이 됩니다.

 

단, 증여를 받는 사람이 미성년자인 경우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2천만원 입니다.

 

그외에 기타친족끼리 증여를 하는 경우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1천만원입니다. 형제, 사위와 장인 장모, 며느리와 시부모는 기타 친족으로 포함됩니다.

 

 2021년 증여세율

 

증여세는 증여 재산에서 공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으로 과세표준을 정합니다. 과세표준 금액이 1억원 이하라면 세율은 10%의 세율이 적용되며 과세 표준이 높아 질 수록 점점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증여세율-표
증여세율

 

 증여세 가산세 - 세대생략 가산세

 

조부모에서 부모를 거치지 않고 손자에게 바로 증여가 일어날 경우 가산되는 가산세로 30%를 가산하는 세금입니다. 조부모에서 부모로 부모에서 자녀에게 단계적으로 증여가 일어날 경우에는 증여세가 부과 될 재산이었기 때문에 세대를 건너 뛰어 증여를 한다면, 국가에서 생략된 세대의 부과되지 않은 세금을 회수하는 제도입니다.

 

 

즉 조부모가 부모에게 증여시 부과되었어야 할 세금을 세대생략 가산세를 통해서 징수하려는 목적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절세를 생각하고 있다면 증여를 하는 시기에 대해서도 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여세 신고기간

 

증여세는 고지하여 징수하는 세금이 아닌 신고세 입니다. 증여 받은 달로 부터 3개월 후 마지막 날까지 납부하게 되어있습니다. 이 기간 내에 납부하게되면 산출세액에 자진신고 3%를 추가로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4월 12일에 증여를 받았다면 7월 31일까지 증여세를 납부하면 됩니다.

반응형